Kaebal복기장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한 웹 프로젝트9

지난 시간에 지난번에 파이어베이스 클라우드 함수를 node express 형태로 만드는 것과, 이를 활용해 클라우드 함수를 라우팅하고 미들웨어 처리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렇게 배운 기능들을 응용하여 게시판 api에 보안 기능을 추가해보자. 가장 기본적이지만 중요한 보안으로, 파이어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만 api 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파이어...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한 웹 프로젝트8

클라우드 응용 지난 웹프로젝트 7번번에서는 파이어베이스 클라우드 함수를 사용하여 서버 구축 없이 api 서버를 제작하는 방법을 배웠봤다. 이 api 서버를 조금 더 체계적으로 만들어보자. node express와 통합 파이어베이스 클라우드 함수는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데, 만약 이 블로그처럼 Node.js(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구현한다면 no...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한 웹 프로젝트7

api 서버와 클라우드 함수 파이어베이스 클라우드 함수를 사용하면 서버를 구축하지 않고도 api를 구현할 수 있다. 무슨 말이냐면, 지난번까지는 node express를 사용해 api 서버를 구현했다. 이 서버는 클라이언트(여기서는 웹 페이지)에서 api 형태로 넘어오는 모든 요청을 꾸준히 처리해야 하니 24/7 내내 돌아가야 한다. 365일 24...

외전-웹 용어정리

서버 보통 웹 프로젝트를 만들 때는 서버를 두 개 사용한다. 하나는 웹 서버로, 웹페이지(클라이언트)가 돌아가는 서버이다. 페이지를 보여주고 클릭 이벤트 같이 클라이언트단에서 처리되는 기능을 담당한다. 쉽게 말해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작성한 코드들은 전부 웹서버에서 돌아간다고 보면 된다.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npm run dev를 하는 것이 바로 웹...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한 웹 프로젝트4

서버 만들기 이전 시간에 푸쉬 알림구현을 만들어보았다. 이번에는 node.express 서버를 만들어 api 형태로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기능을 만들어보겠다. 아참, 프로젝트 폴더 디렉토리 구조가 조금 바뀌었다. 난잡한 디렉토리 구조를 정리하느라 조금 바뀌었는데, 참고하길 바란다. 이해를 돕기위한 이전 대조군 여기에 들어가면 코드 전문을 볼 ...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한 웹 프로젝트3

fcm으로 푸쉬알림 보내기 지금까지 우리는 파이어스토어를 활용해서 초간단 메모장 서비스를 구현해보았다. 여기에 부가 기능을 넣어서 알림 메세지가 오도록 하는 서비스를 만들어보자. fcm 활성화하기 파이어베이스에 있는 FCM1을 활용하면 알림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다시 한번 파이어베이스 콘솔에 접속해보자. 프로젝트에 접속한 뒤, 프로젝트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