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최종 프로젝트 인프라 구축③-minikube 환경 설정

최종 프로젝트 인프라 구축③-minikube 환경 설정

minikube로 간편한 로컬 클라스터 구축

개요

네트워크 문제까지 해결되었으니, 클라스터 서버에 쿠버 클라스터를 구성해보겠다.

minikube를 사용하면 kubeadm 같이 CP-워커노드 복잡한 구성 없이 바로 클라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빠르게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minikube로 구현해 보겠다.

호스트 전용 어댑터 IP로 원격접속

지난 시간에 구성한 virtualbox의 호스트 전용 어댑터는 192.168.56.xxx 대역에서만 호스트에서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다. 왜 56 인지는 저도 몰라요…

do5-img3

그래서 클라스터 IP를 192.168.56.100, 젠킨스 IP를 192.168.56.101 로 변경하였다.

참고로 원격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1
2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22/tcp --permanent
firewall-cmd --reload

do5-img1

로 방화벽에 22포트를 허용해 주고

do5-img2

/etc/ssh/sshd_config 에서 위 형광펜 친 것처럼 해 주고
systemctl restart sshd 해 줘야 한다. (사실 sshd_config 설정은 해 줄 필요 없지만 혹시 모르니)

do5-img4

이러면 위 사진처럼 ssh 원격 접속이 된다!

minikube 설치

do5-img5

미니큐브 설치는 위 사진처럼

1
2
curl -LO https://github.com/kubernetes/minikube/releases/latest/download/minikube-linux-amd64
sudo install minikube-linux-amd64 /usr/local/bin/minikube && rm minikube-linux-amd64

이 명령어를 실행해주면 된다.
그런 다음 minikube start해주면 되는데…

do5-img6

이렇게 오류가 뜰 수 있다. 요지는 쿠버에 쓸 컨테이너 드라이버를 찾지 못했다는 것인데…

그럼 docker를 깔면 되지 않나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Rocky Linux 8을 포함한 RHEL 계열에서는 docker보다 podman을 권장한다. 라고 한다. 8버전 부턴가 독커 지원을 끊었다고 한다.

즉 본인 환경은 록키 리눅스8이니까 podman을 쓰는 게 건강에도 이롭다.
참고로 록키 리눅스8에서는 최소 설치가 아니면 podman이 기본 설치되어 있긴 하지만…

아무튼 이야기가 샜고 podman은 깔려 있지만 실행이 안되고 있는데,

저 로그를 자세히 읽어보면 현재 계정으로 sudo붙여 podman 명령어를 하려고 하지만 비밀번호가 필요해서 실패라고 한다.

그래서 sudo visudo 명령어로 sudoers 파일에 현재 계정(admin)의 특정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그리고 맨 위에 보면 알겠지만 podman은 루트로 실행하면 안된다고 한다)

do5-img7

visudo를 하면 이렇게 vi /etc/sudoers를 한 것과 같은 편집창이 뜨는데
(sudo vi /etc/sudoers로 들어가면 수정이 불가능하다. 반드시 비수도로)

위 사진처럼 맨 아래 줄에

1
(minikube를 실행할 계정) ALL=(ALL) NOPASSWD: /usr/bin/podman

이렇게 podman 명령어에 대해서만 sudo 비밀번호 인증 예외 규칙을 걸어주면 된다.

이러고 다시 minikube start 명령어를 실행해 주면…

do5-img8

클라스터가 구성되기 시작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